간결한 싱글엔드 Class A 회로로 패스 앰프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다

Pass

INT-25

성연진
이동훈

앰프 설계 분야의 대가, 넬슨 패스는 나이가 들수록 생각은 젊어지는 듯하다. 엄청난 물량 투입과 정성으로 보기 힘든 초고가의 제품들로 즐비한 몬스터급 하이엔드 앰프들의 시대에 완전히 상반된 행보로 모든 것을 덜어낸 새로운 앰프를 만들겠다는 젊은이스러운 발상을 보여주니 말이다. 앰프의 거장이 2018년 내놓은 미니멀한 파워 앰프 XA-25는 패스 앰프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그리고 올 가을, XA-25의 뒤를 잇는 새로운 인티 앰프 INT-25가 등장했다. 젊은 아이디어의 새로운 패스 앰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패스의 현재 인티 앰프는 INT-60과 INT-250이다. 파워 앰프 시리즈가 Class A의 XA.8 시리즈와 Class AB의 X.8 시리즈로 나뉘어 있듯이, 두 앰프의 태생은 각각 XA 시리즈와 X 시리즈에서 가져왔다. 완전한 Class A 앰프는 아니지만, INT-60은 XA60.8의 회로를 그대로 가져다가 바이어스 레벨 설정을 조정하여 일정 레벨까지는 Class A로, 그 이후에는 Class AB로 동작하는 구성을 취했다. 신작 INT-25는 이름으로 보면 분명 INT-60의 주니어 정도로 생각될 것이다. 당연히 INT-60의 다운사이징일 것으로 여기겠지만, 내용은 전혀(!) 그렇지 않다. 신작 INT-25는 기존의 거대한 두 인티 앰프와는 전혀 다른 설계, 전혀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패스 앰프의 미래를 보여주는 패스 앰프의 새로운 출발점이다.

앰프 회로의 생각을 바꾼 XA-25

2018년 선보인 패스의 파워 앰프 XA-25는 이름상으로는 Class A 시리즈인 XA.8의 일원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름에 ‘.8’이라는 숫자가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 이 앰프는 기존 XA.8 앰프 패밀리의 일원이 아니라 새롭게 설계된, 그 자체로 새로운 앰프이다. Class A 이기에 XA라는 시리즈의 이니셜은 붙어있지만, 설계된 내용과 방식은 XA-25 자체가 독자적인 출발점이 되는 앰프였다. 자세한 내용은 뒤에서 설명할텐데, 신작 인티 앰프인 INT-25는 그 XA-25를 기반으로 내놓은 새로운 인티 앰프이다. 즉, XA-25가 그렇듯이 INT-25 또한 기존 인티 앰프 INT-60 이나 INT-250과는 다른, 새로운 인티 앰프의 시작인 셈이다.

패스 랩이 아닌, 넬슨 패스의 취미 생활 프로젝트

Nelson Pass
Nelson Pass

넬슨 패스는 패스 랩을 설립한 90년대 초의 알레프 시절부터, 패스의 판매용 앰프들과 별개로 그의 개인 취미를 위한 다양한 DIY 앰프 제작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공개해왔다. 상업용이 아닌 패스의 DIY 앰프 ‘젠(Zen)’ 시리즈는 Son of Zen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로 이어지며 좀 더 간결하면서도 진공관과 같은 개성을 지닌 앰프들로 진화해왔다. 여기서 얻은 노하우들은 새로운 앰프 개발에도 영감을 주게 되었다. 이후 DIY의 Zen 시리즈는 퍼스트와트(Firstwatt)라 불리는 패스의 공식 개인 서브 브랜드 앰프로 등장했다. ‘키친테이블’ 제품이라 불리우는 퍼스트와트 앰프들은 이름이 의미하듯 개인 취미용 아마추어적 컨셉를 밑바탕에 깔고 있다. 싱글엔드 삼극관 진공관 앰프 같은 컨셉을 여러 종류의 FET 기반 반도체 소자들로 설계한 퍼스트와트의 앰프들은 패럴렐이 아닌 싱글 기반 Class A 설계로 출력은 낮지만, 깨끗하고 투명하며 사실적인 음을 들려주었다. 대출력은 아니지만 퍼스트와트의 특색있는 음악적 사운드는 마니아들의 높은 찬사를 받고 있다. 특히 진공관이나 다름없는 동작 특성을 자랑하는 VFET를 구해 새로운 FET 앰프의 사운드를 보여주는 등, 많은 시도와 도전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취미 생활이 불러온 앰프 회로에 대한 발상 전환

간결한 싱글엔드 삼극관 같은 타입의 회로 설계를 하며 기존 앰프 회로에 대한 생각을 새롭게 다잡기 시작했다. 그가 크게 매스를 가한 것은 트랜지스터의 출력 핀에 연결된 저항들이었다. 대개 트랜지스터의 동작 내구성과 바이어스의 안정성을 위해 사용되는 이 저항들은 안정적 동작을 보장해준다. 또한 디스토션을 낮추어 스펙적인 안정성도 가져다 준다. 하지만 일종의 패드백 같은 역할을 하는 이런 저항은 출력단과 스피커 사이 또는 전원 회로와 연결되어 원치 않는 불순물들을 신호 증폭에 입히게 된다. 흔히 논-피드백 설계라 불리우는 앰프들도 패드백 없이 설계는 했더라도 출력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위해 사용된 저항들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이런 저항들의 동작으로 인해 완전한 논-피드백이라 볼 수 없다는 것이 패스의 생각이었다. 그는 순수한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들에 저항이 연결되지 않는 새로운 회로 설계를 구상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트랜지스터를 위한 바이어스 유지와 동작의 안정성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가가 새로운 설계의 핵심이었다. 수 년 동안의 개발 끝에 지난 2018년, 패스는 XA-25라는 새로운 파워 앰프로, 그 숙제를 풀어냈다. 출력단에 딱 한 쌍의 MOSFET로 푸시-풀 Class A 회로를 구현한 25W 출력의 앰프 XA-25가 결과물이다.

새로운 출력 트랜지스터의 도입

X 시리즈와 XA 시리즈로 나뉘어진 패스의 앰프들은 오리지널부터 .5, .8에 이르는 동안 주로 도시바의 MOSFET를 사용해왔는데, 부품의 수급에 한계점을 느끼기 시작했다. 새로운 대안으로 여러 종류의 FET들을 사용해보았다. 특히 퍼스트와트의 설계와 함께 JFET나 제한적으로 쓸 수 있던 세미사우스의 VFET 같은 부품들도 도입하는 등의 다채로운 테스트와 제품 설계가 이어졌다. 그러면서 지난 2018년 내놓은 XA-25 파워 앰프에서는 미국의 반도체 업체인 Ixys에서 내놓은 Polar Hiper FET라는 파워 트랜지스터를 도입했다.
Ixys Polar Hiper FET
Ixys Polar Hiper FET
X 시리즈와 XA 시리즈로 나뉘어진 패스의 앰프들은 오리지널부터 .5, .8에 이르는 동안 주로 도시바의 MOSFET를 사용해왔는데, 부품의 수급에 한계점을 느끼기 시작했다. 새로운 대안으로 여러 종류의 FET들을 사용해보았다. 특히 퍼스트와트의 설계와 함께 JFET나 제한적으로 쓸 수 있던 세미사우스의 VFET 같은 부품들도 도입하는 등의 다채로운 테스트와 제품 설계가 이어졌다. 그러면서 지난 2018년 내놓은 XA-25 파워 앰프에서는 미국의 반도체 업체인 Ixys에서 내놓은 Polar Hiper FET라는 파워 트랜지스터를 도입했다. 이 하이 파워 MOSFET는 800V로 동작하며 53A의 전류 허용 능력을 지닌 소자이다. 주로 하이 스피드 파워 스위칭에 사용되는 부품이지만, 앰프 설계에 사용하면 전압, 전류 그리고 임피던스의 동작 특성이 진공관의 동작 특성과 거의 일치했다. 이를 사용한 덕분에 XA-25 파워 앰프는 순수한 Class A 설계로 출력단에 딱 한 쌍의 Ixys의 파워 MOSFET를 사용하여 8옴 기준 채널당 25W, 4옴 기준 50W의 출력을 낼 수 있었다. Class A 싱글엔드 진공관 파워 앰프처럼 말이다. XA-25와 INT-25의 내부를 열어보면 실제로 좌우의 거대한 방열판에는 딱 한 쌍의 트랜지스터만 부착되어 있을 뿐이다.

XA.8 보다 훌륭한 싱글엔드 Class A 앰프, INT-25

리뷰 제품인 INT-25는 2년 전 발매된 XA-25의 파워 앰프 위에 INT-60 인티 앰프의 프리앰프 회로를 이식시켜 하나로 만든 새로운 인티 앰프이다. 이름 상으로는 INT-60의 동생이지만, 설계와 품종(?)으로 본다면 패스 인티 앰프의 새로운 시리즈인 셈이다. XA-25의 파워 앰프에 INT-60의 프리앰프 회로를 장착시킨 만큼, XA-25와 INT-25의 크기와 무게는 거의 똑같다. INT-60은 XA60.8 모노블럭 파워 앰프의 한 채널을 가져다가 스테레오 앰프로 만든 것으로 거의 XA60.8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채널당 20개, 10페어의 MOSFET가 달린 XA60.8의 댐핑 팩터는 200인데, 2개의 MOSFET를 쓴 INT-25의 댐핑 팩터는 500이다. 출력은 다소 작지만, 간결한 구성의 신개념 회로와 새로운 FET로 설계한 INT-25가 XA60.8/INT-60의 그것보다 뛰어나다는 말이다.

뿐만 아니라, 간결한 새 회로는 훨씬 더 빠르고 넓은 대역폭의 특성을 자랑한다. 간결해진 증폭 단계와 신호 경로 상에 대폭 줄어든 부품의 수 그리고 출력단의 트랜지스터와 스피커 사이에 저항이 없는 회로 등으로 작아졌지만 오히려 확연하게 달라진 성능을 보여주게 된 것이다. 적절한 비유는 아니지만 마치 대형 고급 세단과 작지만 고성능의 스포츠카가 성능을 비교하는 것 같은 차이를 느끼게 하는 부분이다.

신호의 순도와 속도를 우선시한 다운사이징 설계

근래의 자동차들이 에너지, 연비를 주제로 다운사이징을 하는 것처럼, INT-25 또한 커다란 패스의 인티 앰프에서 크기와 무게가 줄고, 회로 설계도 대폭 간결해졌다. 이는 자동차들이 연비를 높이고 그린 에너지 기준에 맞추려는 노력처럼, 최대한 신호의 순도를 있는 그대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불필요한 회로나 여러 단계에 걸친 증폭 스테이즈를 함축 시켜 빠르고 간결한 하이스피드에 걸맞는 증폭을 만들어내려 한 셈이다.

싱글엔드로 설계된 출력단에 맞춰, INT-25는 입력부터 출력까지 모든 회로는 싱글엔드 구성이다. 프리앰프 회로는 패스의 플래그십 Xs 프리앰프를 설계한 웨인 콜번의 작품으로 INT-60에 넣은 프리앰프 회로를 싱글엔드 구성으로 만들어 그대로 이식시켰다. 덕분에 XLR 입력 같은 것이 INT-25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제품 뒷면을 보면 미니멀리즘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특별한 것들이 하나도 없다. RCA로 된 입력 단자가 3개 있는 것이 전부이다.

볼륨 컨트롤도 마찬가지다. 기존의 볼륨 부품이나 볼륨 IC 같은 소자를 쓰지 않고 순수 저항으로 만든 자체 볼륨 회로를 썼다. 전면의 볼륨 노브는 단지 볼륩의 Up/Down 신호를 보내는 컨트롤 기구물일 뿐 볼륨 회로와는 무관하다. 중간에 게인 스테이지나 별도의 액티브 회로가 일체 없는 순수 저항 구성의 볼륨 회로는 5MHz의 광대역 응답 특성으로, 간결한 설계지만 하이스피드 설계 사상에 맞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미니멀한 설계는 앰프의 전면부를 보아도 마찬가지다. 볼륨 노브를 제외하면 볼륨 표시 디스플레이와 입력 선택 버튼과 스탠바이/ON 버튼이 전부다. 요즘 인티 앰프들이 디지털, 스트리밍, 블루투스 같은 온갖 기능들을 쏟아부어 인티 앰프가 아니라, 유니버설 앰프, 스마트 앰프, 올인원 앰프 같은 이름으로 등장하는 것과 완전 반대인 셈이다. 오직 순수한 고순도 하이스피드 신호 재생에 하나 만을 목표로 한 셈이다.

사운드 퀄리티

테스트에는 매지코의 S3 mk2와 다인오디오의 컨투어 30을 사용하고 소스 기기는 루민의 T2, 음원은 Qobuz와 Tidal의 스트리밍 음원으로 테스트 했다. INT-25의 첫 인상은 곱고 매끄러운 음을 기분 좋게 뽑아낸다는 점이었다. 싱글엔드 Class A 앰프라는 타이틀이 선입견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인 톤이 근육질적인 힘과 스케일을 내세우기 보다는 댄디하며 매끈하게 정리 정돈된 느낌으로 이지적인 면모가 앞선다. 사운드 전반에 적절한 온도감이 실려있으며, 진공관 사운드라고 하기에는 차이가 있지만, 묘한 싱글엔드 앰프스러운 자연미로 온화한 분위기와 진공관스러운 색채미를 느낄 수 있다. 사운드스테이지는 대형기와 같은 스케일은 아니지만, 적절한 규모의 무대 속에 다채로운 음의 디테일들을 세련되게 그려낸다. 사실적이며 입체적인 전면 무대 형성이 인상적이며, 무대 위에 이벤트들이 여러겹의 레이어로 겹겹이 분리되어 들린다. 곱고 세련된 음의 단아함과 매끄러움 덕분에 음의 디테일들은 꽤 예리하고 세밀하게 그려진다. 흥미로운 점은 반도체 앰프들이 보여주는 깔깔함 같은 거친 입자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음량을 높일 때 드러나는 경질화 현상이나 다이내믹 컴프레션 같은 소리의 이질감이나 스트레스가 INT-25에서는 거의 나타나질 않았다. 덕분에 볼륨을 자꾸 올리게 되는, 기분좋은 단점이 존재한다.
레너드 번스타인과 뉴욕 필하모닉의 <말러: 교향곡 2번> 중 5악장 피날레의 클라이맥스에서는 대편성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에 오르간까지 등장하는데, INT-25는 이 모든 사운드 요소들을 절대로 가운데로 몰리거나 딱딱하게 경질화되는 법 없이 거의 모두 살려낸다. 리스닝 공간이 4m x 7m 정도의 작지 않은 공간이라서, 볼륨을 50까지 올렸는데도(INT-25의 최대 볼륨은 65이다), 음에 스트레스가 없이 리니어하게 뻗으며 올라가는 능력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다인오디오의 컨투어 30은 임피던스가 4옴이지만 그 이하로 내려가는 스피커로 구동이 쉬운 스피커는 아니다. 그럼에도 4옴 기준 50W 출력의 INT-25는 절대 구동을 버거워하거나 다이내믹의 한계를 보여주는 법 없이 이 대편성 관현악곡을 멋지게 소화해냈다.
다만, 저음에 대해서는 견해들이 다를 수 있다. 출력이 높지 않고 싱글엔드 Class A 앰프답게 위력적이거나 스피커를 강력하게 드라이브거는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양감은 적지만 단단한 저음으로 리듬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능력을 훌륭한 편이다. 하지만, 스피커를 갖고 논다거나 마구 두들기는 위압감은 보여주지 않는다. 코플랜드의 <보통 사람을 위한 팡파레> 같은 팀파니의 초저역 에너지가 많은 녹음에서는 아주 단단하고 정확한 타격음을 선사하지만 초저역의 깊이감에는 약간의 타협점이 있다. 물론 테스트 환경이 작지 않은 공간인 점도 감안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아비샤이 코헨 트리오의 <From Darkness> 중 ‘Halelyah’를 들어보면 도입부의 퍼커션에는 임팩트한 타격감과 에너지가 실려있어 음악의 리듬을 아주 정확하게 깨끗하게 그려낸다. 멜로디를 이끄는 관악기와 건반은 절대 차갑거나 경질화된 느낌을 전혀 찾아볼 수 없고 악기 본연의 자연스러운 질감을 그대로 그려냈다. 공간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탁월한 임장감은 기분 좋은 공기 냄새를 선사했다.

로렌조 가토가 연주한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9번> 중 1악장의 바이올린 사운드는 마치 LP를 듣는 듯한 자연스러운 아날로그적 색채로 멋지게 재생된다. Class A 앰프에서 느껴지는 적절한 온도감과 매끄러운 현의 색채는 INT-25의 최대 장점이라 할 만 했다. 피아노와의 거리감을 보여주는 사운드스테이지도 꽤나 입체적이며, 피아노의 타건과 울림에도 자연스런 목질감이 실려있었다. 불과 이 녹음만 그런 것이 아니다. 라둘로비치의 <파가니니 판타지> 중 소나타 곡을 들어도 마찬가지로 아주 진하고 매끈한 바이올린의 색채가 멋지게 재현되었다.

프레디 머큐리의 싱글을 모아 작년에 고해상도 리마스터링으로 발매된 중 ‘Time waits for no one’은 피아노 반주 하나에 내지르는 프레디 머큐리의 보컬 뿐이다. 도입부는 재생이 쉽게 느껴지지만 중반 이후로는 보컬의 다이내믹 그리고 샤우팅에서 시끄럽고 난잡하게 들리는 어려움이 있다. 앰프의 다이내믹스나 안정된 힘이 없다면 대개 볼륨을 줄이게 만드는 곡인데, INT-25는 오히려 볼륨을 올리게 만드는 여유를 보여준다. 높은 리니어리티로 볼륨 레벨과 함께 시원스럽게 뻗는 고음과 샤우팅의 에너지 그리고 함께 뒤를 받쳐주는 피아노의 울림까지, 어려울 법한 클라이맥스도 기분 좋게 통과하는 안정감을 선사한다. 높은 출력은 아니지만, 패스다운 힘과 안정감 그리고 싱글엔드 Class A라는 이 앰프 특유의 자연스럽고 매끈한 음색까지 더해져 음악을 음악답게 즐기게 만드는 매력이 넘친다.

정리

XA-25에 이어 발매된 새로운 회로와 새로운 FET 증폭 소자로 미니멀하며 다운사이징을 거친 INT-25는 기존의 INT-250이나 INT-60과는 확연하게 다른 개성이 넘치는 사운드를 들려준다. 높은 출력의 자매 모델들과 같은 힘은 덜하지만, 스케일이나 출력의 차이가 있을 뿐 구동력의 한계나 저음의 없다는 것이 아니다. 안정된 지구력으로 힘과 다이내믹스를 앞세우지 않았을 뿐이다. 오히려 힘을 빼고 자연스럽고 높은 리니어리티 그리고 하이스피디한 사운드에 Class A와 싱글엔드 같은 단어에서 떠오르는 매끈한 톤은 진공관 앰프는 아니지만, 반도체 앰프로서는 이례적인 음악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마치 다운사이징을 거친 세단이 높은 연비와 안정된 드라이빙 능력으로 새로운 주행 감각을 보여주듯이 패스의 새로운 앰프 설계는 싱글엔드와 Class A로 새로운 패스 사운드의 시작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중저가 인티 앰프들과는 격이 다른 수준의 가격대에 있는 인티 앰프지만, 패스의 인티 앰프로는 입문기일 뿐이다. 하지만, 단순히 저렴한 패스 앰프가 아니다. 패스 앰프의 명성 위에 새로운 미래를 엿보게 만드는, 매력이 가득한 음악적 하이파이로 안내하는 출발점이다.

제품사양

PASS INT-25 Integrated Amp

ClassA
TypeStereo
Gain (dB)29/35
Volume control (1dB steps)63dB
Remoteyes
Inputs3
Outputs0
Power Output /ch (8 ohm)25 Watts
Power Consumption (W)200
Standby Power Consumption (W)<1
Dimensions (W x H x D)43 x 44 x 15cm
Weight (LBS)22.2kg
수입원사운드솔루션   www.sscom.com
제품문의02-549-07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