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하이파이 음질의 병목을 뚫어주는 하이엔드 스위치

Melco

S100

MELCO S100 스위칭허브 리뷰
성연진
이동훈

아무리 좋은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쓴다 하더라도, 플레이어가 받아오는 스트림 신호는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공유기 또는 스위칭 허브의 출력에서 받게 된다. 신호는 인터넷으로 음악을 스트리밍해주는 서비스 업체로부터 또는 직접 리핑하여 파일을 저장한 개인 NAS, 뮤직 서버에서 받아오는 것이지만, 플레이어에 입력되는 실제 전기 신호를 만들어서 보내주는 것은 바로 플레이어 앞에 붙어있는 공유기나 스위칭 허브인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플레이어로 유입되는 스트림 신호를 만들어주는 공유기나 스위칭 허브의 전기적 처리 과정이나 노이즈 발생 여부 그리고 네트워크 데이터의 동기화와 클럭 처리는 네트워크 플레이어의 재생 음질에 곧바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USB DAC 초기 시절 때도 그랬듯이, 네트워크 플레이어도 초기 시절에는 공유기나 스위칭 허브의 음질적 중요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음질을 평가할 수 있는 오디오 전용 네트워크 장비라는 것도 존재하지 않았다. 단지, 시중에 판매되는 각종 공유기나 스위칭 허브를 써보고 음질을 평가하는 식으로 HP, Cisco, Netgear 그리고 국내 ipTIME 같은 제품들을 사용하는 것이 전부였다. 하지만, 이런 업무용, 가정용 네트워크 장비들에 전원부나 클럭 개조들을 통해 음질 개선의 시도가 몇 년 전부터 등장하기 시작했고, 지난해부터는 컴퓨터 오디오나 네트워크 오디오 관련 업체들이 오디오 전용이라는 네트워크 스위칭 허브를 내놓기 시작했다. 물론 이런 오디오 전용 네트워크 장비들은 기존 컴퓨터 시장의 제품들과 달리 훨씬 깨끗하고 투명한 사운드를 들려주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네트워크 오디오의 하이엔드 진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멜코 S100

버팔로의 MELCO, 스위칭 허브로 영역을 넓히다.

아주 대중적이지는 않지만, 일본의 버팔로는 국내에서 외장 하드, NAS 그리고 각종 네트워크 장비 등으로 업계의 인지도가 있는 편이다. 물론 본국인 일본에서는 컴퓨터 및 네트워크 업계에서는 아주 대중적인 브랜드이다. 이들이 컴퓨터에서 확보한 기술을 바탕으로 하이파이 전용 뮤직 서버를 만들면서 새롭게 분리 독립 시킨 하이엔드 네트워크 오디오 전문 회사가 바로 ‘멜코(MELCO)’이다. 지난 5년 동안 하이엔드 뮤직 서버로 세계적인 지위를 얻고 있는 멜코는 뮤직 서버를 벗어나 보다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 오디오 기기들을 내놓기 시작했다. 그 신작이자 가장 대표적인 제품이 바로 리뷰 제품인 S100, 오디오 전용 네트워크 스위칭 허브이다.

이미 각종 IT 관련 제품들을 개발, 생산하는 업체을 뿌리로 둔 만큼, 오디오 전용 스위칭 허브의 개발은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멜코는 최초의 개발 제품을 공개한 뒤, 실제 완제품이 발매되기까지 거의 2년에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겉보기에는 평범해보이는 네트워크 스위치지만, S100은 음질을 고려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투입되고 다시 음질 검토 및 튜닝이라는 과정을 거치며 오디오적인 성능을 갖추는 과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단순한 네트워크 스위치 하나의 개발에 그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 것이다. 덕분에 멜코의 신작 S100 네트워크 스위치는 기존의 컴퓨터, 네트워크용 스위칭 허브와는 다른 하이파이적인 성능으로 시장에 진출하게 되었다.

멜코 S100, 이렇게 다르다.

불과 몇 만원이면 구입할 수 있는 인터넷 공유기나 네트워크 스위칭 허브가 수두룩한데, 오디오용이라고 네트워크 스위치에 몇 백 만원을 쏟아 붇는 것이 말이 되냐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히 그럴 수 있다. 네트워크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는 데이터가 컴퓨터에서 주고 받는 파일과 똑같다면 말이다. 파일 재생이나 웹 서핑의 데이터 송수신과 달리 스트리밍에서는 TCP가 아닌 UDP 라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수신 데이터의 무결성 확인 체크 및 재송신 기능이 없다. 게다가 앞서 잠시 언급했듯이, 네트워크 플레이어는 스위칭 허브에서 만들어진 전기적 스트림 신호를 받아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스위칭 허브의 전기적 성능에 따라 플레이어가 내는 사운드 퀄리티가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각종 전기적 노이즈와 정밀한 클럭 타이밍에 재생 스트림의 퀄리티에 직결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멜코는 S100의 설계를 일반 네트워크 장비 보다는 하이엔드 오디오적인 전원, 클럭의 설계를 도입했고, 부품들 또한 다양한 테스트로 엄선한 부품들만을 사용했다. S100이 지닌 오디오적인 성능 개선을 위한 설계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오디오적인 내부 회로 구조

오디오 재생시 음질을 위한 새로운 내부 아키텍처를 도입했다. 기존 스위칭 허브처럼 모든 이더넷 단자가 다 똑같은 단자가 아니다. S100의 1번-4번 포트는 100Mbps 속도의 포트로 오디오 전용 포트이다. 데이터의 변형이나 개선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100Mbps 포트는 1Gbps의 포트들보다 음질이 더 뛰어나다.

- 고성능 클럭 기반은 독자적 패킷 처리

클럭이 성능이 아주 형편없는 수준만 아니면 클럭 자체는 크게 중요치 않다. 정말로 중요한 것은 S100 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처리하는 방식이 음질 개선에 훨씬 중요한 요소이다.

멜코는 오디오 패킷들을 성공적으로 구분해내고 이들 패킷의 전송 퀄리티를 최적화시킨 처리 알고리듬을 적용, 이를 1번-4번 포트의 데이터에 적용시켰다. 그래서 1번-4번 포트에 네트워크 플레이어와 스트리밍 기기들을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일부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ROON 코어 같은 것들은 100MB 가 넘는 데이터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래서 S100은 오디오 패킷들이 1기가바이트 환경에서 훨씬 더 세심하게 제어되는 섹션을 별도로 분리하여 설계한 것이다. 이런 설계 덕분에 ROON 코어 같은 재생 환경이나 일반 NAS 같은 뮤직 서버 연결 상태에서의 재생에서 사운드 퀄리티에 질적인 손실이 거의 없도록 해준다.

멜코 S100

- 안정된 물리적 섀시 설계

기계적인 구조 및 설계 또한 스위칭 허브가 제공하는 퍼포먼스에 상당한 역할을 끼친다. 이와 관련하여 이미 버팔로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장비에서부터 쌓은 많은 노하우를 갖고 있다.

- 저노이즈의 고순도 전원

스위치는 공급 전원에 의해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S100은 몇가지의 저노이즈 컨트롤러와 오디오용 콘덴서들을 뱅크로 구성하여 전원부에 추가했다. 물론 이것이 끝은 아니다. 내장된 전원부의 성능도 상당히 훌륭한 수준이지만 별매로 판매되는 고급 리니어 전원 장치 등을 추가하면 훨씬 더 향상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멜코 S100

- 오디오에 최적화된 패킷 처리와 회로 분리

인터넷 공유기는 오디오파일적인 요소와는 무관한, 오디오적으로는 유해한 각종 노이즈 성분들이 가득하다. 따라서, 인터넷 공유기에서 오는 이더넷 케이블들 및 컴퓨터 NAS 등은 5번-8번 포트에 연결하도록 했다. 멜코는 타이달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재생 음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몇몇 영리한 솔루션을 찾아냈다.

공유기들은 대개 인터넷 제공 업체들이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비디오 스트리밍에 최적화되어 있다. 그 이유는 넷플릭스나 IPTV 같은 서비스에서 인터넷 서비스 업체의 수익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멜코는 스위치 내에 1.5MB의 대형 패킷 버퍼를 설계하여 오디오 음질의 성능 향상을 구현했다.

멜코 S100과 루민 X1을 광이더넷으로 연결한 모습.
멜코 S100과 루민 X1을 광이더넷으로 연결한 모습.

- 광 이더넷을 통한 한 단계 향상된 음질 개선의 잠재력

일반 이더넷과는 별도로 S100에는 2개의 SFP 입력 단자가 제공된다. 이들은 향후 보안 내지는 미디어 컨버터들을 사용할 때, 한층 향상된 성능 개선을 맛 볼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한다.

멜코 S100 후면 단자부

- LED 스위칭 노이즈 제거 스위치

최고 사운드의 퍼포먼스를 위해서는 뒷면에 있는 모든 이더넷 연결 표시 LED들을 끌 수 있다. 이를 통해 끊임없이 켜고 꺼지는 LED의 스위칭 노이즈를 없앨 수 있도록 했다.

네트워크 및 컴퓨터 전문 업체의 모체를 둔 회사 답게 멜코는 현장에서 얻은 다양한 실질적 성능 개선의 노하우를 S100의 개발에 아낌없이 투입한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노력이 과연 음질적인 차이가 있는가 하는 점이다.

사운드 퀄리티

테스트에는 2대의 S100을 준비하고, 네트워크 플레이어로 루민의 X1을, 스트리밍 뮤직 서버로는 인텔의 NUC로 만든 ROON 코어를 준비했다. 이더넷 연결은 션야타 리서치의 Sigma 이더넷 케이블과 광 연결을 위해 HP의 SPF와 싱글모드 이더넷 광 케이블을 사용하였다. 신호의 연결은 멜코에서 제시한 방법대로, 네트워크 플레이어는 100M 포트에, 인터넷 라인과 NAS, 뮤직 서버 등은 1G 포트에 연결했다.

테스트에는 멜코 S100의 브로슈어에 광이더넷 연결과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언급되어 있는 루민의 X1과 같이 진행되었다.
테스트에는 멜코 S100의 브로슈어에 광이더넷 연결과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언급되어 있는 루민의 X1과 같이 진행되었다.

S100 vs 일반 스위칭 허브

제일 먼저 시도한 것은 시중에서 흔히 구입 가능한 일반 스위칭 허브와의 비교였다. 이 비교는 특별히 언급해야 할 만큼 중요치 않다. 이미 앞서도 다양한 오디오 전용 스위칭 허브들이 음질적 차이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S100 또한 충분히 그런 차이를 보여줄 것을 예측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예상처럼, S100을 연결하자 루민 X1에서 재생되는 음악들은 마치 연주홀 앞에 내려진 커튼이 벗겨진 듯, 훨씬 투명해지고 시원하게 열린 공간을 보여준다. 연주의 각종 디테일들은 매우 선명하고 악기들의 색채나 질감도 딱딱하고 건조함을 벗어나 훨씬 아날로그적인 악기 본연의 색채로 재생되었다. 저음도 훨씬 탄력적으로 변했고, 보컬의 명료도도 개선되었다. 몇 곡 듣지 않아도 알 정도의 차이를 금방 느낄 수 있었다.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사용할 때, 왜 오디오 전용 스위칭 허브가 필요한가를 그 자리에서 입증해 보인 시청이었다.

기본 전원 vs 리니어 전원

멜코에서도 언급했듯이 S100은 일반 스위칭 허브와 달리, 스위치 내부에 저노이즈 정류 회로와 오디오 전용 콘덴서로 구성된 전원 필터 뱅크를 내장했다. 기본 전원 어댑터도 노이즈가 적은 성능이 뛰어난 스위칭 방식의 어댑터라고 한다. 기본은 12V DC 전압을 인가하지만 기기 내부에서 다시 한번 정류 과정을 거쳐 전원이 공급되는 이중 정류 회로로 동작하는 셈이다. 덕분에 기본 어댑터를 통한 재생의 음질도 충분히 좋은 편이다.

노도스트 QSOURCE 리니어 전원장치
노도스트 QSOURCE 리니어 전원장치

그래도 제조사에서는 기본 어댑터 대신 좋은 별매 리니어 전원부를 사용하면 확실한 음질 개선을 주장한 만큼, 리뷰를 위해 노도스트의 QSOURCE를 준비했다. 기본 어댑터에서 QSOURCE로 바꾸자마자 일거에 분위기가 달라졌다. 색깔은 진하고 윤곽선은 훨씬 부드럽게 변하는데 디테일은 훨씬 더 선명해졌다. 전반적인 음의 분위기와 온도감도 높아져서 차갑고 냉랭하며 투명도나 해상도만 강조되는 디지털적인 개선에서 훨씬 하이파이적인 분위기가 극도로 고조되었다. 물론 QSOURCE의 가격은 S100 보다 더 비싼 리니어 전원이라는 함정이 있긴 하지만, S100은 그 영향을 제대로 실감할 수 있는 사운드의 비약적 상승을 가져다 주었다. 여유가 된다면 QSOURCE와 S100의 조합은 현존하는 네트워크 스위치의 극한값이라 할 만 최고 수준이다.

멜코 S100

싱글 스위치 vs 듀얼 스위치

다음 비교는 2대의 스위치 구성이다. S100 자체에는 100M 포트와 1G 포트가 각각 오디오용과 컴퓨터/서버용으로 나뉘어 있지만, 아예 물리적으로 시스템을 나누는 구성을 시도해보았다. 싱글 스위치는 1대의 S100에 100M 포트와 1G 포트에 네트워크 플레이어와 인터넷 및 NAS를 나누어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듀얼 스위치는 1대의 S100에는 100M 포트에 네트워크 플레이어를, 다른 1대의 S100에는 인터넷과 ROON 코어를 연결했다. 그리고 두 S100 사이는 Sigma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하되, 인터넷과 ROON 코어용 S100에서는 100M 포트의 출력을 뽑아 네트워크 플레이어용 S100의 1G 포트에 입력시켰다. 두 기기의 전원은 모두 QSOURCE의 12V 전원으로 동작시켰다.

사실 네트워크 스위치의 개수와 단계가 많아지면 그 만큼 중간의 지연 및 손실이 발생되어 음질적으로 유리할 것 같지 않았지만, 결과는 반대였다. 싱글 스위치 구성보다 듀얼 스위치 구성으로 가면 드라마틱한 변화까지는 아니지만 훨씬 더 차분해진 뒷배경과 투명도나 명료도의 개선이 느껴진다. 피아노의 타건의 임펄스적인 에너지가 훨씬 자극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악기톤으로 들리고 재즈 연주에서 더블베이스의 피치카토 같은 에너지 분출은 부밍이 적고 더 타이트하고 힘찬 울림의 단단한 톤으로 재생되었다. 이미 좋다고 생각했던 부분에서 한 단계 더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다 준 것이다. 이는 네트워크 스위칭 지연에서 생기는 문제 보다는 네트워크 기기, 컴퓨터, 인터넷에서 타고 나오는 전기적 노이즈가 재생 음질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훨씬 크다는 반증일 것이다. 개선의 효과를 위해서는 2대를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긴 한데, 하이엔드 유저라면 듀얼 스위치 구성도 테스트해보길 권한다. 판매를 맡고 있는 헝그리오디오에서는 듀얼 스위치 구성의 데모도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한다고 하니 요청할 경우 직접 경험해볼 수 있을 것이다.

기본 인터넷선과 두 S100간 각각 이더넷/옵티컬 방식으로 기본 연결을 한 상태.
기본 인터넷선과 두 S100간 각각 이더넷/옵티컬 방식으로 기본 연결을 한 상태.
멜코측에서는 PC,룬코어 등의 데이터 처리량이 많은 기기는 1000M 기가비트 단자에, 네트워크 플레이어의 경우 100M 단자에 연결을 권장하고 있다
멜코측에서는 PC,룬코어 등의 데이터 처리량이 많은 기기는 1000M 기가비트 단자에, 네트워크 플레이어의 경우 100M 단자에 연결을 권장하고 있다

이더넷 듀얼 스위치 vs 광 듀얼 스위치

마지막 테스트는 듀얼 스위치 상태에서 2대의 S100 연결을 이더넷 케이블이 아닌 SFP, 광 모듈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이었다. 듀얼 스위치 구성에서 전기적 연결마저 제거하여 한쪽은 완전 순도 100%의 오디오 동작 상태를 유지하여, 전기적 노이즈가 있는 모든 소스와 컴퓨터 관련 기기들이 네트워크 플레이어와 완전히 단절되는 연결인 셈이다.

이 차이도 또 다른 음질적 변화를 가져다 준다. 물론 극과 극을 오가는 음질의 비약적 향상까지는 아니지만, 뭐라 표현하기 어려운 새로운 분위기를 가져다준다. 보다 3차원적인 스테이징의 무대 형성과 여유로운 잔향들의 향연 같은 요소들이 하이파이적 쾌감을 훨씬 높여준다. 고역이 좋아지고 디테일이 개선되고 같은 파라미터의 개선들을 일일이 찝어서 이야기하긴 어렵지만, 분위기가 달라지고 질적인 개선이 느껴진다.

SFP 케이블하지만 약간의 함정은 있다. 테스트에는 수입원이 제공한 HP의 SFP 모듈 외에 개인적으로 갖고 있던 NEXI 라는 브랜드의 멀티 모드 모듈과 멀티 모드 케이블이 있어서 이를 비교했다. 가격은 NEXI는 1만원대 수준이며 HP의 모듈은 이보다 훨씬 비싼 모듈이자 싱글 모드 모듈인데, 전자는 오히려 일반 이더넷 연결보다 못한 수준이었다. 물론 듀얼 스위치의 성능 개선 효과가 있긴 했으나, 앞서 션야타의 Sigma 이더넷 케이블 연결에 비해 전반적으로 평면적이고 단조로운 사운드로 모든 면면들이 후퇴한 느낌을 주었다.
멜코 S100

이는 스위치간의 연결 뿐만이 아니다. 루민의 X1은 현존하는 네트워크 플레이어들 중 유일하게 광 이더넷을 지원하는 플레이어이다. 따라서, 별도의 모듈을 준비하여 S100과 루민 X1 사이도 광 이더넷으로 연결하여 음질 비교를 했는데 이 부분도 마찬가지였다. 갖고 있던 인텔의 멀티모드 광 모듈과 NEXI의 멀티모드 광 모듈을 비교하자 여기에서도 음질 차이가 꽤 벌어졌다. 이번 리뷰에서 ‘딱 이것이 정답이다’라고 하긴 어렵다. 광 모듈 그리고 싱글 모드와 멀티 모드라는 광 이더넷의 전송 모듈과 케이블 매체에 따라 음질이 달라지는 것은 굉장히 큰 변수이기 때문이다. 시중에는 수 많은 광 모듈이 있고, 실제 제조사가 어느 회사 제품인지에 따라 제대로 된 모듈을 골라야 하는 또 한 번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 여러 변수 중에서 수입원이 제공한 HP 모듈은 나름 성공적인 선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멜코 S100

정리

하이엔드 뮤직 서버로 유명한 멜코가 내놓은 또 하나의 하이엔드 네트워크 오디오 기기인 S100은 왜 네트워크 오디오에서는 오디오 전용 네트워크 스위치라는, 다소 사기적인 마케팅의 산물로 보이는 이런 제품을 써야하는 지를 보여주는 직접적인 증거이다. 많은 컴퓨터 마니아들에게는 오디오파일들의 이런 행위가 정신나간 일탈로 보여지겠지만, 여러 스위치를 써본 오디오파일들은 S100 같은 제품이 들려주는 사운드의 개선이 무엇인지 금방 이해할 것이다. 100M 포트와 1G 포트의 분리,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내부 패킷 버퍼의 확장 설계, 고순도 전원이 가져다 주는 사운드의 개선 등, S100은 하이엔드 네트워크 플레이백에서 놓치고 있거나 부족했던 마지막 퍼즐 조각을 채워주는 최후의 카드라 할 수 있다. 다양한 테스트의 결과로 볼 때, 2대를 사용하여 완벽한 전기적 차폐를 통한 최후의 재생 방법은 다소 미친짓 같지만 네트워크 오디오의 음질을 새로운 신세계로 안내해주는 천국으로 가는 계단 같은 솔루션이다. 물론 듀얼 스위치가 전부는 아니다. 1대의 싱글 S100 셋업으로도 지금까지 네트워크 오디오에서 들어보지 못한 클리어한 하이파이 사운드의 세계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다. 아직 네트워크 오디오에서 음질적인 아쉬움이나 개선점을 찾고 있다면, 멜코의 S100은 지금 당장 써봐야 할 추천 1순위의 옵션이다.

제품사양

Ports4 x 100Mb/E RJ45
4 x 1000Mb/E RJ45
2 x Fibre SFP/LC
Power12V 1 amp 5.7mm coax
Size215 x 61 x 269mm (W H L)
Weight2.5kG
수입원헝그리오디오   https://cafe.naver.com/hungrya   010-9999-675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