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2 - SACD를 벗고 네트워크의 탈을 쓴 그란디오소 K1X의 변신

Esoteric

N-01XD

성연진
이동훈, Esoteric

에소테릭 N-01XD Part.1

에소테릭 N-01XD

Esoteric N-01XD

울트라 하이엔드 SACD 시스템이 낳은 최고의 네트워크 스트리머.

앞선 기사에서는 N-01 XD가 등장하기까지의 스토리에 관해 소개했다. 이제 N-01 XD 자체의 기술과 성능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한다. 지난 기사 말미에서 언급했듯이 N-01 XD는 사실상 그란디오소 K1X와 같은 제품이다. 두 기기의 차이는 ‘SACD 플레이어’냐 ‘네트워크 플레이어’냐 하는 차이만이 있을 뿐이다. 즉, 앞 단에 해당하는 프론트 엔드가 디스크 메커니즘이냐(K1X), 스트리밍 모듈이냐(N-01 XD) 하는 차이만 있을 뿐, 사운드를 재생해내는 DSP 회로, 알고리듬, 클럭 시스템 그리고 DAC 회로 기판까지 두 제품이 같다는 말이다. 그런 결과를 가져온 핵심적인 이유는 바로 에소테릭이 자체 개발해낸 Master Sound Discrete(이하 MSD) DAC에 있다.

Master Sound Works 그리고 Grandioso

에소테릭 SACD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는 에소테릭의 전임 사장이자 프로듀서, 모토아키 오마치. 에소테릭의 Grandioso를 탄생시킨 장본인이다.
MSD DAC를 설명하려면 먼저 에소테릭의 Master Sound Works 부터 소개해야 한다. 에소테릭은 2000년대 중반부터 자체 레이블로 Esoteric Master Sound Works 라는 이름의 SACD를 발매하고 있다. 에소테릭의 전임 사장이었던 모토아키 오마치가 프로듀서로 기획 총괄 업무를 받고 리마스터링 엔지니어와 팀을 이뤄 도이치 그라모폰이나 데카, 필립스 등 세계적인 클래식 레이블의 마스터를 받아다가 새롭게 SACD로 리마스터링하여 발매하는 프로젝트가 바로 에소테릭의 Master Sound Works 이다. 마스터 사운드 웍스는 그런 역사적 음반들을 선별하여 오리지널 레이블들로부터 디지털 마스터 카피를 받아 일본에 있는 자체 리마스터링 스튜디오에서 SACD에 맞게 새롭게 리마스터링 작업을 한다. 대개 고해상도 PCM 또는 DSD 오리지널 마스터를 받아오는데, 이를 일본의 스튜디오에서 에소테릭의 DAC, 클럭 그리고 각종 아날로그 장비를 사용해 사운드를 새롭게 소리를 다듬어 DSD 마스터를 제작한다. 이를 SACD로 타이틀당 1,000장씩 한정 발매하는 것이 에소테릭의 마스터 사운드 웍스다.
에소테릭 레이블의 다양한 SACD들. 일회성 특별 기획처럼 보였던 SACD 프로젝트는 10여년 동안 이어지며 클래식에서 재즈까지 다양한 세계적 명반들을 SACD로 리마스터링하여 발매되고 있다.
에소테릭의 컨버터와 클럭, 각종 아날로그 장비 뿐만 아니라 심지어 ‘멕셀’이라 부르는 에소테릭의 하이엔드 케이블들까지 사용하여 녹음의 사운드를 에소테릭의 사운드로 새롭게 재탄생시킨 마스터 사운드 웍스 SACD 음반에는 고스란히 에소테릭의 사운드 철학과 색깔이 담겨졌다. 애초에는 이벤트성 프로젝트에 가까웠던 이 작업은 세계적인 오디오파일 아이템으로 성공하며 에소테릭의 또 하나의 성공 상품이 되었고, 이에 힘입은 프로듀서인 오마치와 에소테릭의 엔지니어들은 마스터 사운드 웍스 리마스터링 스튜디오의 사운드 시스템을 초하이엔드 컨슈머 오디오로 상품화시키게 되었다. 그것이 2012년 등장한 에소테릭의 ‘그란디오소(Grandioso)’ 시리즈다. 최초로 등장한 그란디오소 제품은 P1, D1 같은 디지털 소스 기기가 아니라 순수 아날로그 프리앰프와 파워 앰프였고, P1, D1이 발매된 것은 2013년 늦은 겨울의 일이었다.
도쿄 다이칸야마에 있는 JVC 리마스터링 센터의 에소테릭 작업실. 에소테릭의 클럭, 컨버터, 플레이어 그리고 멕셀 케이블로 구성된 리마스터링 시스템을 볼 수 있다.

에소테릭 사운드의 완결, Master Sound Discrete DAC

2013년 등장한 그란디오소 P1, D1은 하이엔드 SACD 플레이어 업체 이미지가 강한 에소테릭을 단번에 울트라 하이엔드 반열로 브랜드 가치를 높여주었다. 4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된 SACD 시스템은 CH Precision의 D1/C1/X1, dCS의 Vivaldi 시스템과 같은 선상에서 비교되는 현존 최고의 디지털 소스기기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변함이 없던 그란디오소 플래그십 SACD 시스템은 5년 반만에 모든 것을 갈아엎은 새로운 시스템으로 탄생된 것이 그란디오소 P1X, D1X 이다. P1X 에는 VRDS NEO 보다 한 단계 더 등급을 높인 새 SACD 메커니즘인 VRDS-ATLAS를 개발, 적용했고 D1X은 기존 반도체 DAC 칩이 아닌 트랜지스터와 저항으로 DAC 회로를 풀어서 만든 디스크리트 회로 DAC인 Master Sound Discrete DAC을 개발, 적용했다. 새 그란디오소의 이 기술들은 마스터 사운드 웍스의 SACD 리마스터링 작업에서 쌓아 온 사운드에 대한 철학과 노하우를 하드웨어로 승화시켜낸 결과물들이다.

Grandioso D1X에 사용된 Master Sound Discrete DAC. 반도체 업체의 DAC 칩이 아닌 에소테릭 자체 개발한 디스크리트 DAC 회로 보드. 자체 설계한 델타 시그마 변조기(FPGA)와 고정밀 저항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32개의 DAC 회로.

특히, D/A 컨버터는 아날로그 앰프나 SACD 메커니즘과 달리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기 쉽지 않다.  지금까지 에소테릭은 버브라운이나 아사하카사히의 칩을 사용하여 DAC를 만들어왔다. 그 기술적 한계 마저도 뛰어넘어 반도체 대신 디스크리트 회로로 DAC를 구현하여 자사의 DSP 알고리듬 부터 D/A 변환까지, 컨버터의 A 부터 Z 까지 모든 것을 에소테릭의 것으로 완성한 것이 MSD DAC 이다.

초고해상도 델타 시그마 DAC, MSD DAC

MSD DAC는 크게 2개의 파트로 나뉜다. 모든 입력 신호를 업샘플링하거나 PCM-DSD 변환을 처리하는 DSP가 1차 처리를 담당한다. 이렇게 1차 변환된 신호들을 넘겨 받는 MSD DAC 에서는 최대 512배 오버샘플링과 64비트 연산 처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1비트에 가까운 DSD 신호로 만들어낸다. 디스크리트 DAC 회로가 델타 시그마의 순수 1비트 방식인지 아니면 2~5비트 구조의 멀티비트 델타 시그마 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브로셔의 블록다이어그램을 보면 대략 8개의 전류원으로 구성된 3비트 델타 시그마 DAC를 채널당 4개씩 구성한 설계로 보인다. 1개의 채널에 총 32개의 변환 회로로 구성된 회로로, 이는 얼마 전에 발매된 린의 클라이맥스 DSM Organik DAC도 MSD DAC를 따라 32개의 커런트 소스를 쓴 디스크리트 DAC 구조를 따르고 있다.

N-01 XD와 Grandioso K1X에 사용된 Master Sound Discrete DAC 회로 블록 다이어그램

그란디오소 D1X 에서 채널당 2개, 64개의 회로가 투입된 MSD DAC는 그란디오소 K1X 와 N-01 XD 에서는 채널당 1개, 32개의 회로가 사용된다. 에소테릭은 32비트 해상도, 64비트 연산을 강조하는데 DAC 자체는 델타 시그마의 1비트 방식이므로, 아마 초고해상도 샘플링의 노이즈 세이핑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완전한 1비트 DAC를 채널당 32개 배치한 퓨어 1비트 DAC일 가능성도 있지만 말이다. 아무튼 최근 하이엔드 DAC들이 추구하는 초고해상도 샘플링 처리에 따른 광대역 다이내믹 레인지와 고해상도 재생을 이끌어낸 셈이다.

N-01 XD와 Grandioso K1X에 사용된 Master Sound Discrete DAC 보드, ES906142/906143

그란디오소 G1X, N-01 XD 그리고 K-01 XD의 등급 차이

중요한 사실은 MSD DAC에도 등급이 있다는 점이다. 최상위는 그란디오소 D1X에 사용된 더블 디퍼런셜 방식의 듀얼 모노럴 버전이다. 소위 1채널에 4개 DAC 회로, 기판으로는 2개의 보드가 투입된다. 이 MSD DAC을 밸런스드 구조의 디퍼런셜 구성으로 만든 것이 그란디오소 K1X 와 N-01 XD 에 사용된 버전이다. 1채널에 2개의 DAC 회로, 기판으로는 1개의 보드로 제작된다. D1X의 DAC 보드를 1개만 사용한다. 그런데 이 1채널의 2개 DAC 회로도 버전이 또 다시 나뉜다. 그란디오소 K1X와 N-01 XD에 사용되는 보드가 있고, 아날로그 출력단을 더 심플하게 설계한 K-01 XD 용 DAC 보드가 있다. DAC의 변환 회로 자체는 같지만 실제 디자인된 PCM는 전혀 다르며, 아날로그 출력단도 다르다.

K-01 XD의 MSD DAC 보드 블록 다이어그램. 입력단의 아이솔레이터가 생략되었다.

실제 제품 내부를 보면, 그란디오소 K1X 와 N-01 XD의 MSD DAC 보드는 품명이 E906142/3로 동일한 기판이 사용된다. 이에 반해 K-01 XD는 E906282/3로 거의 비슷하지만, DAC 입력부와 아날로그 출력 회로가 다른 기판을 사용한다. 가장 큰 차이는 K-01 XD의 DAC 디지털 입력 회로에 디지털 노이즈 차단을 위한 아이솔레이터가 없고, 아날로그 출력 회로에도 K1X와 N-01 XD의 출력 회로 일부가 아예 제거되어 있다. 뮤즈라 불리우는 OP 앰프로 꾸며진 출력 버퍼 회로가 절반 이하로 줄어든 셈이다.

SACD 플레이어 K-01 XD 에 사용된 MSD DAC 보드, E906282, 906283. 얼핏 보기에는 같은 DAC 보드로 보이지만, 아날로그 출력단 설계가 다르며, 회로가 슬림화 되었다.

즉, 정리하면 K1X와 N-01 XD의 DSP와 DAC 회로는 하드웨어 기판 자체까지 완벽히 동일하다. 마케팅적으로 상위 제품의 회로를 차용하여 설계해 넣었다는 홍보 문구가 아니라, 완전히 같은 제품이다. 그란디오소 K1X가 N-01 XD 보다 2배나 비싼 가격임을 감안하면, N-01 XD는 같은 제품을 반값에 즐길 수 있다는 놀라운 바겐세일이나 다름없다. 뿐만 아니라 좀 더 비싼 K-01 XD와 비교해도 더 저렴한 N-01 XD가 오히려 K-01 XD에 비해 그란디오소 K1X 급 제품이라는 점은 충격적일 수 밖에 없다.

Grandioso K1X 와 N-01 XD, 차이가 있을까?

그렇다면 그란디오소 K1X와 N-01 XD는 무엇이 다를까? 결론부터 말하면 VRDS-ATLAS 메커니즘이다. K1X는 일체형 SACD 플레이어로 새 플래그십 SACD 메커니즘인 VRDS-ATLAS 메커니즘을 사용했다. 이에 반해 N-01 XD는 네트워크 DAC 이므로, 메커니즘이 없다. 그리고 섀시의 외형 디자인이 다르다. 이 부분이 고스란히 가격적인 차이를 가져온 것이다. 역으로 보면 VRDS-ATLAS의 메커니즘이 굉장히 고가의 부품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N-01 XD 보다 낮은 버전의 DAC 보드를 사용했음에도 가격이 더 비싼 K-01 XD를 보면 더욱 메커니즘의 가격을 체감할 수 있게 된다.

N-01 XD의 출력 단자들. Grandioso K1X와 달리 다양한 입출력 단자들이 제공된다. 특히 클럭 출력과 ES-LINK 5 입력 그리고 스트리밍 이더넷 입력이 제공된다.

또 하나의 차이는 DSP 보드이다. N-01 XD는 네트워크 DAC 인 만큼, 네트워크 스트리밍 모듈과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에소테릭의 SACD 트랜스포트와 연동되어 쓸 수 있도록 ES-LINK 5 디지털 입력이 제공된다. 또한 트랜스포트와의 클럭 연동을 위해 워드 클럭 출력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외에도 동축 입력의 추가 등, 디지털 입출력 단자의 추가로 DSP 보드에 더 많은 물량 투입과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부분이 그란디오소 K1X와 다른 점이다.

N-01 XD의 새로운 기능들

그렇다면 전작인 N-01과는 어떤 부분들이 달라졌을까? 간단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성능적 개선과 진화를 이룬 새 네트워크 모듈

N-01 XD는 N-01과 다른, 새로운 설계의 신형 네트워크 스트리밍 회로를 사용한다. 더 빠르고 개선된 하드웨어를 통한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 그리고 고해상도에 초점을 맞춘 소프트웨어적 진화를 통해 네트워크 재생 성능을 한 차원 높였다. N-01의 DSD128, PCM192 사양보다 훨씬 높은 DSD512, PCM768의 스트림 재생으로 현존 최고 사양의 음원 포맷들을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진화를 이룬 것이다.

N-01 XD 스트리밍 모듈과 전원부 vs N-01 스트리밍 모듈과 전원부. 새 프로세서로 설계된 새 스트리밍 모듈은 대폭 업그레이드된 리니어 전원 및 정류 회로로 네트워크 재생 음질을 비약적으로 개선했다.

- 하이엔드 Clock 시스템, Grandioso VCXO II

N-01 XD의 모든 디지털 신호를 움직이는 메인 클럭, Grandioso VCXO II. 노멀 VCXO 클럭 시스템을 썼던 N-01과 달리 N-01 XD는 그란디오소 K1X의 Grandioso VCXO II 클럭 시스템을 사용한다.

N-01 XD는 그란디오소 K1X와 똑같이 Grandioso VCXO II 라 불리우는 새로운 클럭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는 그란디오소 P1X, D1X에서 개발 적용된 에소테릭의 최고급 클럭 회로이다. 이를 능가하는 것은 에소테릭의 단품 클럭 시스템인 G-01X나 G-02X 뿐이다. 내장 클럭 시스템으로는 에소테릭의 최고 사양인 것이다.

- SACD 플레이어 확장을 지원하는 ES-LINK 5 입력

N-01 XD는 네트워크 DAC이라 부르는 명칭처럼 DAC 기능이 대폭 강화되었다. N-01이 단순히 광, 동축, USB 정도의 디지털 입력이 있는 DAC 였던 것과 달리 새롭게 ES-LINK5 디지털 입력이 추가되었다. 이는 에소테릭의 P1X나 P-05X 같은 에소테릭의 SACD 트랜스포트를 연결하여 SACD의 DSD 신호 전송을 제공하는 에소테릭의 신호 전송 기술의 최신 버전이다. 따라서, N-01 XD 자체는 네트워크 플레이어지만, P-05X 같은 SACD 트랜스포트를 연결해주면 CH Precision의 D1과 같은 SACD 메커니즘을 사용한 또 다른 버전의 그란디오소 K1X를 구축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N-01 XD를 SACD 플레이어로 변신시켜주는 SACD 트랜스포트 P-05X. P-05X는 CH Precision의 D1과 같은 VRDS-NEO 메커니즘을 사용하고, ES-LINK Digital 출력과 외부 클럭 입력을 통해 N-01 XD와 마스터 슬레이브 연결로 완벽한 SACD 플레이어가 된다.

- 다양한 입출력 단자들

ES-LINK 5 추가 뿐만 아니라 N-01 XD 에서는 동축 입력이 1개더 추가 되었고, ES-LINK 5 를 포함한 모든 디지털 입력들이 MQA 풀 디코딩 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새로운 grandioso VCXO II 클럭의 도입과 함께 10MHz의 마스터 클럭 입력 외에도 ‘워드 클럭 출력’이 새로 추가되었다. 꼭 외장 클럭을 쓰지 않더라도, N-01 XD의 Grandioso VCXO II 의 클럭으로 별도의 디스크 트랜스포트나 클럭 연동이 가능한 타 디지털 기기(예를 들어 뮤직서버 등)들을 동작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고급화된 전원부와 아날로그 출력

4개의 트랜스포머와 리니어 전원부는 전작과 같지만, 2배나 늘어난 전원 콘덴서 용량과 개선된 정류 회로로 전원부 개선이 이루어졌다. 특히, 네트워크 모듈을 위한 전원부는 새 네트워크 모듈에 맞춰 전원 분리와 정류 회로 개선이 대폭적으로 이루어져 새 네트워크 모듈의 성능 개선에 맞춰 전원부까지 모두 대폭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네트워크 스트리밍의 기능성

N-01 XD는 최신예 네트워크 플레이어 답게 기능적인 면에서는 거의 완벽에 가깝다. ROON Ready 와 UPnP 같은 네트워크 스트리밍 기능은 기본이며, TIDAL, QOBUZ 그리고 Spotify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재생도 당연히 기본 제공된다. 그리고 MQA 풀 디코딩도 제공되어 TIDAL Master 재생도 완벽히 소화한다. 그리고 뒷면의 USB 스토리지 단자를 통해 외장 USB 하드나 메모리를 사용하여 음원을 직접 재생할 수 있으며, 타 네트워크 플레이어에게는 뮤직 서버로 음원 스트리밍을 지원한다.

에소테릭 만을 위한 기능, 커런트 모드 출력

만약 에소테릭의 앰프를 사용하는 유저라면 N-01 XD 의 전류 출력 기능을 사용한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N-01 XD의 아날로그 출력 회로는 기본적으로 울트라 하이스피드의 대전류 출력 전송 기능을 갖춘 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에소테릭의 앰프들과 사용하게 되면, 일반적인 전압 방식의 신호 전달이 아닌, 대전류 출력으로 동작하는 커런트 모드 전송이 가능해진다. 과거 크렐의 CAST 연결과 같은 전류 모드 전송으로 훨씬 빠르고 정보량 높은 신호 전송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에소테릭은 ESL-A(Esoteric LINK – Analog)라는 이름으로 이 기능을 부른다. 에소테릭 앰프들 중 ESL-A 입력을 갖춘 앰프에 XLR 단자로 연결하고, 메뉴에서 출력 설정을 ESL-A로 해주면 하이 스피드, 하이 커런트의 전류 전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ESL-A 기능이 없는 일반 앰프들에서도 N-01 XD의 높은 슬루율과 전류량의 아날로그 출력 회로는 대단히 빠르고 정교한 사운드를 제공한다.

에소테릭 N-01XD
N-01 XD의 MSD DAC와 아날로그 출력 회로. 채널당 250,000uF의 대용량 전원 회로를 통해 소스 기기로는 상당한 용량의 전류 출력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전압 출력이 아닌 ESL-A의 전류 출력 모드로 동작할 경우, 에소테릭 앰프들과 연결하여 임피던스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하이스피드와 엄청난 정보량의 사운드를 제공한다.

N-01 XD는 N 라인의 네트워크 플레이어지만, 실제로는 Grandioso K1X를 네트워크 플레이어로 재포장해 놓은 대단한 퍼포먼스를 지닌 초하이엔드 디지털 소스 기기이다. 2배나 비싼 K1X를 K-01 XD 보다도 저렴한 가격에 누릴 수 있는 엄청난 가성비의 충격적인 DAC 이자 플레이어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놀라운 마스터 사운드 기술의 플레이어는 어떠한 사운드를 들려줄 지 다음 편에서 다루어 보기로 한다.

Part.3에서 계속.

수입원 : 극동음향(주)
판매처 : 사운드코어 02-549-0717 / www.soundcore.kr

댓글